경영이야기

[스크랩] CoP 란...

큰사람네 2013. 8. 27. 10:09

지식 창출의 길잡이: CoP(Community of Practice)

2006.12.26 16:10 | 지식경영 이란 | 지식전도사

http://kr.blog.yahoo.com/myungsoone/20 주소복사

지식경영에서 지식을 창출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지식경영시스템 내의 지식맵을 통해 개인이 지식을 창출하고 이를 다시 업그레이드 시켜 지식경영시스템에 올리는 것도 지식창출활동입니다. 베스트프렉티스를 찾아내는 것도 지식창출 활동입니다. 회사내의 캐비넷에 들어 있는 회사지식을 시스템에 옮겨 높는 것도 지식창출의 한 방법이 되겠지요....

그러나 최근 가장 많이 각광을 받고 있는 지식창출 방법은 CoP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CoP는 Community of Practice로 학습공동체 혹은 지식공동체라는 표현으로 쓰입니다. 어떤 기업은 연구회 혹은 학습동아리란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CoP의 원래의 의미는 관심을 같이하는 사람들의 공동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통의 관심, 비공식적 모임이 기존의 학습조직 혹은 TFT와 다른 가장 중요한 차별화된 요소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무래도 공통의 관심을 가진 비 공식적 모임이라는 측면에서 CoP는 개인의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좋은 수단으로 이미 서구에서는 많은 연구가 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이러한 CoP의 범위가 차츰 확대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비공식모임에서 공식적인 모임으로의 확대가 여러 기업에서 보여지고 있습니다. 

CoP의 종류는 학자나 연구하는 분들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만,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을 것 입니다. 하나는 역량강화형 CoP(학습CoP)와 문제해결형CoP(전략적 CoP)가 그것입니다.

  * 역량강화형CoP: 개인의 역량강화를 통한 조직의 역량강화를 목적으로 관심을 같이하는 사람들의 모임(학습CoP로 삼성전자 구미사업장의 Pro팀을 예로 들 수 있음)
  * 문제해결형CoP: 기업의 전략 수행을 위한 그리고 팀과 회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임으로 주로 Top-Down과제가 많음(전략적CoP로 기업의 문제해결을 위한 조직된 CoP로 많은 기업에서 전략적CoP를 활용하고 있음)

이 중 문제해결형 CoP는 비공식적 모임이 아닌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해결형 CoP는 원래 의미의 CoP의 확장 모형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CoP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요소가 필요할까요?
 
1. 오프라인 모임도 필요합니다. 자칫 CoP활동을 온라인에서만 진행하려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원격지의 모임으로는 매우 바람직 합니다. 그리고 취지에도 맞습니다. 그러나 오프라인 모임을 통해 구성원간의 인간적인 관계를 유지해야만 좀더 나은 CoP활동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마스터들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oP는 마스터(시샵)의 활동 여부에 따라 성패가 좌우됩니다. 따라서 KM팀에서는 CoP마스터들에 대한 로열티를 제고할 수 있는 활동을 전개해야 합니다.

3. 스폰서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CoP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스폰스가 중요합니다. 스폰스는 CoP활동이 잘 진행되도록 하는 촉매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스폰스의 관심과 지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제시해야 합니다.

4. 적절한 실비를 제공해야 합니다. CoP활동이 잘 진행되기 위해서는 일정수준의 경비가 지원되는 것이 좋습니다. 학습을 위한 강사비용 및 교재 비용, 벤치마킹 비용, 그리고 간단한 회식 비용의 경우는 지원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CoP시스템의 완성도 및 KM팀의 모니터링은 기본적인 사항이라 언급할 필요가 없겠습니다.

 

출처 : 꿈을 가진 사람이 행복합니다
글쓴이 : 꿈마니 원글보기
메모 :